출처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 65(10), 2249 – 2306
연구필요성
● Key point 1 전세계적으로 신체활동부족과 관련된 부정적인 건강 결과들의 높은 증가 때문에, 간호사들은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론과 조사에 근거를 둔 새로운 증거가 필요하다.
● Key point 2. 신체활동부족은 점점 더 선진공화국에서 일반적이게 되고 비만과 암, 심혈관계 질환, 당뇨 같은 만성병의 원인이 된다.
● Key point 3 신체활동을 촉진하고 넒은 범위의 건강 결과들을 개선하는 여러 문화가 섞인, 혁신적인, 근거에 기반을 둔 전락들은 계속해서 서계적으로 간호연구와 간호진료의 중요한 영역이다.
연구 목적
음악, 분위기 그리고 움직임 이론은 분위기의 변화와 청각 혼란과 생리학적인 반응 사이의 관계들을 움직임을 위한 단서로써 육체적인 활동을 증가시키고 성인들의 건강 결과들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한다.
해당논문 소제목1
음악은 분위기를 바꿈으로써 감소된 불안감, 우울감, 흥분, 통증, 변화된 생리학적 반응, 개선된 사회적 상호작용과 같은 향상된 건강결과들을 가져온다.
● Key point 1 음악은 불안감과 우울감과 흥분과 같은 건강 결과들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전세계적인 환자인구들에서 분위기를 바꿨다.
● Key point 2 스트레스 반응들의 방해함으로써 음악은 혈압, 심박수, 호흡수, 산소요구량과 통증을 감소시켰다.
● Key point 3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자기표현의 방법으로써. 음악은 집단정체감과 느낌의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제목2 바뀐 분위기의 심리적 반응과 음악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의 움직임 둘 다 개선된 건강결과를 이끄는 신체활동의 시작과 유지를 증진시킨다.
● Key point 1 음악은 다양한 성인 인구들에 신체활동의 시작과 유지를 이끌 수 있는 움직임을 위한 청각적 신호이다.
● Key point 2 신체활동을 증가하도록 디자인된 음악 중재들은 즐거움을 증진시키는데 집중해야 한다. 그것이 행동의 강화이고 신체활동 과정의 시작과 유지에 중요하다.
● Key point 3 운동하면서 듣는 음악은 개인의 흥미를 붙잡고 신체활동과 긍정적인 경험들과 연결함으로써 참여를 증진시킨다.
토론을 위한 질문
● 질문 1 음악적 요소 (율동, 선율, 화음, 음정)은 건강 결과 개선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끼치는가?
● 질문 2 어떤 종류의 음악이 더 나은 건강 결과를 만들 수 있을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