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내분비내과

[ED] DKA vs HHS

by 재취녀 2021. 11. 28.
DKA diabeticn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HHS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
인슐린 결핍+길항호르몬 증가
-> 지방세포에서 유리 지방산의 유리 촉진
-> 간에서 유리 지방산이 케톤체로 산화되는 것이 억제되지 않음.
-> 케톤산증과 대사성 산증 발생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서 혈장 인슐린 농도 증가
-> 혈당 증가, 지방분해와 케톤혈증 안 어남.
T1DM T2DM
인슐린 결핍상태. 탈수에 의한 반응이 적절하지 못한 hyperosmolarity
24시간 이내에 짧은 시간 발현 수일에서 수주에 걸쳐 진행
산증에 의한 쿠스마울 호흡, 아세톤 냄새
다음 다뇨 체중감소 탈수 무기력감
의식변화와 혼수
오심이나 구토
케톤혈증, Anion gap 증가하는 metabolic acidosis
의식저하 심함.
고열
극심한 탈수증상

PH < 7.3
혈청 bicarbonate < 18mEq/L
Anion gap >10mEq/L
혈청이나 소변 케톤 양성
혈당 > 250 mg/dL
Sodium 125-135(pseudohyponatremia)
Osmolality 300-320 mOsm/mL
PH > 7.3
혈청 bicarbonate > 15mEq/L
Anion gap <12mEq/L
혈청이나 소변 케톤 음성
혈당 > 600 mg/dL
Sodium 135-145(severe dehydration)
Osmolality 330-380 mOsm/mL


1. 수액치료(HHS) 2. 인슐린 치료(DKA) 3. 칼륨 +/- 중탄산염(혈중 ph 7.0미만인 경우에만 칼륨 공급하여 모니터링 필요)
혈중 포타슘
인슐린 결핍, 고장성 상태, 산증에 의하여 칼륨이 세포외로 유출되어 고칼륨 혈증 유발 extracellular shifting
, 혈중 포타슘 농도가 정상범위의 하한이거나 정상보다 낮은 경우 체내 포타슘의 심한 결핍 상태
혈중 포타슘 3.3 보다 높은 상태로 조절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인슐린 치료 금기.
부적절한 인슐린 치료, 수술 혹은 감염과 같은 급성 질환에 의한 악화.
췌장염, 심근경색, 뇌혈관 질환과 약제 등
탄수화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부신피질 호르몬, thiazides, 교감신경항진제 (dobutamine, terbutaline), 2세대 항정신병제제, 고혈압 위기
당뇨에 의한 삼투성 이뇨가 발생하여 수분, 나트륨, 칼륨과 기타 전해질 소실.
인슐린 작용의 감소와 이에 동반된 글루카곤, 카테콜아민, 코티솔, 성장 호르몬 등의 일슐린 길항호르몬 증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