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내분비내과5 [ED] DKA vs HHS DKA diabeticn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HHS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 인슐린 결핍+길항호르몬 증가 -> 지방세포에서 유리 지방산의 유리 촉진 -> 간에서 유리 지방산이 케톤체로 산화되는 것이 억제되지 않음. -> 케톤산증과 대사성 산증 발생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서 혈장 인슐린 농도 증가 -> 혈당 증가, 지방분해와 케톤혈증 안 어남. T1DM T2DM 인슐린 결핍상태. 탈수에 의한 반응이 적절하지 못한 hyperosmolarity 24시간 이내에 짧은 시간 발현 수일에서 수주에 걸쳐 진행 산증에 의한 쿠스마울 호흡, 아세톤 냄새 다음 다뇨 체중감소 탈수 무기력감 의식변화와 혼수 오심이나 구토 케톤혈증, Anion gap.. 2021. 11.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