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R시 간호사 역할 : 1. 간호기록 및 추가 order 받기 & 간호처방 발행 2. 라인 및 물품준비(suction & ambu bag 준비) 3. 제세동기 시행 보조 4. intubation 보조 및 suction 5. 물품정리 및 CPR카드 정리
라인 (보통 20G) 잡고 응급 약물 (수액이나 주사) 적용준비함.
응급 약물
① EPINEphrine 1mg/1ml
● 작용기전 및 효과 :- 알파, 베타교감신경수용체를 모두 흥분시키는 강력한 catecholamine
- 동맥압 및 심박동 수 증가, 관상동맥 및 뇌혈류량 증가
- 심근 수축력 증가, 관상동맥 및 뇌혈류량 증가
- 기관지 평활근 이완으로 기관지확장제이며 기관지 천식에 사용
● 용량 및 투여경로 : 0.5~1mg을 3~5분마 다 정맥주사
- 소아 : 생리식염수 9mL +Epinephrine 1mL(1:10,000)용액으로 희석
● 대량 사용시 심계항진, 호흡곤란 초래함
● 금기 : 고혈압, 동맥경화증, 기질성 심장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분만도중
② Sodium bicarbonate 8.4% 20ml
● 작용기전 및 효과 : - 순환정지 후나 소생술 중에 경계 관류 (borderline perfusion)시
빈혈성 조직에서 생긴 고정된 산(fixed acid)을 중화
- 적응증 : metabolic acidosis, hyperkalemia, 항우울제나 phenobarbital overdose, long standing CPR,
after reestablishment of spontaneous respiration
● 용량 및 투여경로 : 1mEq/kg을 정맥주사, 19분마다 최초량의 반을 투여한다.
반복 투여 시에는 가능한 동맥혈 가스검사를 하여 염기결핍의 양을 계산한 후 적절한 양을 투여
● 혈액 내 Na이 축척되어 고나트륨혈증을 초래 할 수 있으므로 울혈성 심부전, 부종, 또는
Na정체에 주의하여 투약
③ Atropine sulfate 0.5mg/1ml
● 작용기전 및 효과 : 부교감신경차단제로 동방결절의 흥분성을 증가, 방실결절의 전도 촉진
- 심정지시 전기적인 활동을 유도
- Bradycardia에 사용
- 마취 전 투약, 침과 호흡기계 분비물을 억제한다.
● 용량 및 투여경로 : Total 3mg을 넘지 않도록 0.5mg을 5분마다 정맥 주사
(단, 심박동 수가 60회/분 이상 되도록 유지)
● 과량투여 시 섬망, 빈맥, 혼수, 피부발열, ataxia(실조증), blurred vision(몽롱함)이 나타날수 있음.
● 금기 : 녹내장, 전립선비대로 인한 배뇨장애, 두통, 호흡장애, 심계항진
④ Cordarone 150mg/3ml
● 작용기전 및 효과 : 심방성부정맥, 심실성부정맥, 기타 다른 부정맥용제로 치료되지 않는 재발성중증부정맥,신속한 반응이 요구되거나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경우에 투여 ● 용량 및 투여경로 : -(포화요법)체중 ㎏당 5㎎을 포도당주사액 250㎖에 희석하여 20분-2시간에 걸쳐 천천히 투여한다. 24시간내 동일 용량을 2-3회 반복하여 투여할 수 있다.
-포도당주사액 이외의 다른 약과 혼합하여 투여하지 않는다.
● 금기 : 혈압, 중증의 호흡기부전, 심근병증 또는 심부전 환자
⑤ Calcium gluconate 20ml
● 작용기전 및 효과 - 심근의 수축력 향상
- Hyperkalemia, hypocalcemia, calcium channel blocker toxicity에 사용
● 용량 및 투여경로 : 0.5ml/min 이하로 서서히 투여
● 주위조직으로 새나가면 괴사가 생기므로 피하나 근육주사는 금기
● NaHCO3와 혼합할 경우 Calcium이 침전
● 금기 : 심부전증, 강심배당제 투여 중, 신부전의 저칼슘혈증
⑥ Dopramine 200mg/5ml
● 작용기전 및 효과 - 저농도에서 용량 의존성 심근수축 촉진작용 (베타-수용체 촉진)
- 고농도에서는 혈관수축작용 (알파-수용체촉진)
● 용량 및 투여경로 : initial 2-5mcg/kg/min iv infusion, 20mcg/kg/min 까지 투여 가능
- 1~5mcg/kg/min → renal blood flow↑, U/O ↑
- 5~10mcg/kg/min → 심근수축력 증가, CO↑, HR↑, renal blood flow↑
- 10mcg/kg/min 이상 → Vasoconstriction, BP↑, HR↑, 심근수축력 증가, CO ↑
● 용량계산에 유의하여야 하며 감량시 tapering 할 것
● 알칼리용액에서 불활성화되므로 중탄산나트륨과 혼합하면 안됨.
● 혈관 밖으로 유출되면 조직 괴사를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주의
⑦ Norpin 40mg/20ml(NE:20mg)
● 작용기전 및 효과 - 급성 저혈압의 혈압상승제, 쇼크시 보조치료
(심근경색에 의한 쇼크, 패혈증에 의한 쇼크
- 고농도에서는 혈관수축작용 (알파-수용체촉진)
● 용량 및 투여경로 - ACLS dose : 0.1~0.5mcg/kg/min
- Sepsis & septic shock : 0.01~3mcg/kg/min
(주로 40mg을 5%D/W 500ml 에 mix 하여 사용한다.)
● 부작용 : 두통, 현기증, 불안, 심계 항진, 호흡곤란, 혈압상승 (과량투여)
● 혈관 밖으로 유출되면 조직 괴사를 유발 할 수 있음.
물품준비 - 응급카트 구비된 물품 확인
응급약물, P/S 1L, 5% D/W 500, P/S 20cc, P/S 500cc
IV catheter 18G 20G 22G ,3-way, Airway #4 #3 #2 #1( 숫자 클수록 큼)
O2 mask , plaster실크, Alchol sponge
Rubber tube, 1자 connector
Surgical glove, T-piece, Oxysensor
Suction rubber/ plastic
Poly glove, Electrode, EKG paper, penlight, 건전지, jelly
1회용 산소 가습기, Syringe
ETT tube #8.0 #7.5 #7.0 ( stylet 포함된 제품 or 따로 분리)
Ambu- bag, Reserve bag, Facial mask
'간호 > 간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rdioversion (동율 동전환) vs Defibrilation(DC : 제세동) (0) | 2022.08.27 |
---|---|
CPR시 간호사 역할 : 5. 물품정리 및 CPR카드 정리 (0) | 2021.12.22 |
CPR시 간호사 역할 : 4. intubation 보조 및 suction (0) | 2021.12.20 |
CPR시 간호사 역할 : 3. 제세동기 시행 보조 (0) | 2021.12.20 |
CPR시 간호사 역할 :2. 라인 및 물품준비(suction & ambu bag 준비) #2 (0) | 2021.12.06 |
CPR 간호사 역할 1. 간호기록 및 추가 order 받기 & 간호처방 발행 (0) | 2021.12.06 |
ARB Angiotensin-2 Receptor Blocker 안지오텐신-2 수용체 길항체 (0) | 2021.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