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간호지식

CPR시 간호사 역할 : 3. 제세동기 시행 보조

by 재취녀 2021. 12. 20.

CPR시 간호사 역할 : 1. 간호기록 및 추가 order 받기 & 간호처방 발행 2. 라인 및 물품준비(suction & ambu bag 준비) 3. 제세동기 시행 보조 4. intubation 보조 및 suction  5. 물품정리 및 CPR카드 정리

 

제세동기(defibrillation) 시행


1) 적응증
: 자동 심장충격기는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으로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줌.
- 무맥성 심실빈맥 (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 QRS파에 대응하는 P파가 존재하지 않음.

- 심실 세동 (ventricular fibrillation)
: P파, QRS파, T파의 구별이 어렵고 파의 형태,진폭, 주기가 매우 불규칙


2) 순서
- 전원을 킨다.
- 전극을 부착한다.
: 흰색- > 오른쪽 어깨 위 (RA)
검은색 -> 왼쪽 어깨 위 (LA)
빨간색 -> 왼쪽 겨드랑이 7cm아래 (LL))

 

- 리듬을 분석한다.
: Defibrillation : VF or Pulseless VT, DC cardioversion : synchronization
(맥박이 만져지고 QRS comple가뚜렷한 환자에서 QRS파에 맞추어 전기충격)

- 패들의 위치 확인
: Sternum -> 우측 쇄골 ½ 지점
Apex -> 좌측 유두와 좌측 중앙 액와선

 

- 기계에 맞는 에너지 충전
: Monophasic -> 성인 360J, 소아 2J/kg
Biphasic -> 성인 200J, 소아 2J/kg

 

- Defibrillation 시행
: 패드에 젤을 충분히 후 (젤을 충분히 바르지 않을시 화상 위험) 주변에 환자와 닿는 것이 없는지 확인 후 패들을 알맞은 위치에 두고 10kg정도 힘을 가해 제세동을 시행함.

- 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