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간호지식

Cardioversion (동율 동전환) vs Defibrilation(DC : 제세동)

by 재취녀 2022. 8. 27.

1. Cardioversion (동율 동전환)

1) Cardioversion 정의

: 심박동과 일치시켜 동시에 전기충격을 가하는 제세동.

심장의 이완기에 전기충격이 가해지면 정상 심박동이 심실세동이나 무수축으로 전환된다.

이 원리에 따라 cardioversion은 심장 주기의 R파에 맞춰 전기충격을 가해 심실 탈분극을 시켜 심근 내의 비정상적 반복성 회귀 회로의 전기적 순환을 차단한다. 

시행 전 synchronization (동기화) 과정이 필요하다.

2) Cardioversion 적응증 -> 혈액학적으로 불안정한 빈맥

: 심방성 부정맥 (AT 심방 빈맥, A-fib 심방세동, AF심방조동), VT심실빈맥 , 심근허혈로 인한 부정맥

 

3) Cardioversion 전기에너지

: 성인 기준

부정맥 유형 AF심방조동 VT심실빈맥 PSVT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A-fib 심방세동
전기에너지  50~100J 100J 50~100J 120~200J

 

4) Cardioversion prepare

  • 전기적 심율동 전환술 동의서 & 진정 동의서 받기.
  • 최소 6시간 금식 확인하기.
  • 24-36시간 전까지 digitalis 투약 중단 확인하기.
  • 저 칼륨인 경우 version후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음으로 혈청 potassium 수치 확인하기.
  • cardioversion 시행 전 EKG 기록하기.
  •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여 산소를 준비하기.

5) Cardioversion 시행 방법.

  • 아동용 or 성인용 패드(일회용)를 가슴과 등에 붙인다.
  • EKG 기록을 위해 12 lead 모니터를 부착한다. (cardioversion 시행 전과 후의 EKG비교 위해)
  • synchronization를 on으로 설정한다. (R파에 전기충격이 가해질 수 있도록)
  • 제세동기 모니터를 lead --> pad로 전환한다.
  • 적정 에너지를 선택한다. (대개 50J부터 시행)
  • 진정 약을 준비한 후 진정약을 투여한다.  
  • 환자가 완전히 진정된 것이 확인되면 에너지를 충전한다. (charge 버튼)
  • 충전이 완료되면 제세동 시작을 누른다. (shock 버튼)
  • 환자의 심전도 변화, spo2 및 호흡곤란 여부를 확인한다.

** 만약,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었다면 sync버튼을 off 한 후 제세동을 시행하면 된다.

​6) Cardioversion 주의점.

  •  AF, Af를 치료할 땐 방실 전도를 제어할 부정맥 약(예를 들어, 베타 blocker, ca-channel blocker)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digitalis 는 심방수축을 항진시키므로 AF, Af를 악화시킬 수 있다.
  • digitalis를 사용할 때 cardioversion을 병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오히려 여러 부정맥이 발생하기 쉽고 digitalis중독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금기]

: digitalis 중독으로 인한 부정맥인 경우

: 갑상샘기능 항진증으로 인한 부정맥인 경우

: 원인 질환이 없는 심방잔떨림이 있는 경우

 

 

 

2. Defibrilation(DC : 제세동)

 

1) Defibrilation 정의

: V fib 심실세동, pulseless VT 맥박이 없는 심실빈맥일 때 정상조율로 전환하는 방법으로 전기적 자극을 심장 주기와 관련없이 심근에 전달한다. 최근에는 A-fib 심방세동에도 제세동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synchronization (동기화)과정은 하지 않는다.

 

2) Defibrilation 적응증.

: Ventricular fibrillation 심실세동, 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맥박이 없는 심실빈맥

 

3) Defibrilation 시행방법.

  • 제세동 켠다.
  • Energy를 선택한다.
  • Paddles에 jelly 바른다.
  • Paddles를 위치한다. (Rt sternum : 오른쪽 쇄골 바로 아래, Lt apex : 왼쪽 액와 전방선상의 유두아래)
  • 주변에 사람떨어뜨리고 제세동 시행한다.
  • 환자의 EKG 리듬을 확인한다.

 

3. Cardioversion와 defibrillation 과의 차이점

  • 제세동은 R파와 상관없이 전기충격이 가해진다 (동기화 과정이 필요 없음)
  • cardioversion은 제세동과 달리 QRS complex 직후에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 QRS직후는 심실의 근육수축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중으로 심근은 절대적인 불응기에 접어들어 있다. 만약 T wave가 존재하는 시기 (불응기를어난 심근이 많고, 감수성도 가장 높다)에 전기충격이 가해진다면 심실잔떨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Cardioversion 시 synchronization이 되지 않을 경우 더 심각한 VT심실빈맥이나 VF심실세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댓글